은행
7월 경상수지 27개월 연속 흑자에도…“美 관세 영향 본격화”
- 7월 기준 역대 최대 107.8억 달러 흑자…관세 불확실성
“‘케데헌’ 효과, 굿즈 판매·여행 수요 등으로 파급”

27개월 연속 흑자…반도체 수출 호조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107억8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6월 142억7000만 달러보다 줄었지만, 7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다. 게다가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27개월 연속 흑자 기록이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누적 경상수지는 601억5000만 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 492억1000만 달러보다 약 22% 많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7월 상품수지는 102억7000만 달러 흑자로 월 기준 역대 3위였던 6월 131억6000만 달러보다 약 29억 달러 줄었다. 하지만 작년 7월 85억2000만 달러보다는 약 18억 달러 늘어 역대 같은 달만 비교하면 세 번째로 많다.
수출은 597억8000만 달러 흑자로, 작년 같은 달보다 2.3% 불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두 달 연속 증가세다. 6월 603억7000만 달러보다는 1.0% 감소했다.
특히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30.6%)·승용차(6.3%) 등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컴퓨터주변기기(-17.0%)·의약품(-11.4%) 등은 줄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7.2%)·EU(8.7%)·미국(1.5%)에서 호조를 보였지만, 중국(-3.0%)·일본(-4.7%)에서 고전했다.
수입은 495억1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0.9% 줄었지만, 올해 6월보다는 4.9% 늘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에너지 가격이 낮아졌지만, 전월보다 에너지류 수입 물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원유(-16.7%)·석유제품(-5.8%) 등 원자재 수입은 작년 7월보다 4.7% 축소됐다. 반대로 반도체제조장비(27.7%)·정보통신기기(12.6%)·반도체(9.4%) 등 자본재 수입은 6.2% 늘었다.
추후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부정적 영향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송재창 한국은행 금융통계부장은 “미국 관세 조치가 7월 경상수지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관세가 부과된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송 부장은 “반도체 수출 호조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자동차도 미국 이외에 유럽연합(EU), 호주 등으로 수출을 다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관세 영향은 타격이 있으나 수출이 잘 감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케데헌 효과’ 여행수지에 영향 줄까
서비스수지는 21억4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는 전월(-25억3000만 달러)이나 작년 같은 달(-23억9000만 달러)보다 줄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는 9억 달러 적자였지만, 여름철 성수기에 따른 외국인의 국내 여행 증가로 적자 폭이 6월 10억1000만 달러였던 것과 비교해 줄었다.
이 가운데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흥행에 따라, 여행수지 개선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박성곤 한국은행 국제수지팀장은 “외국인의 국내 여행은 중국인을 중심으로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케데헌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는 직접적으로 알기 어렵다”면서도 “지식재산권(IP)이 넷플릭스 본사에 있어서 관련 효과는 크지 않지만, 굿즈 판매라든지 여행 수요·식품 수출 등으로 다양하게 파급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7월 본원소득수지는 29억5000만 달러로, 6월 41억6000만 달러의 약 70% 수준에 그쳤다. 직접·증권 투자 배당 수입이 줄어 배당소득수지가 34억4000만 달러에서 25억8000만 달러로 뒷걸음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7월 중 110억8000만 달러 불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4억1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17억2000만 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01억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채권 위주로 76억4000만 달러 늘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백약이 무효?"…산재 사망 더 늘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쯔양, 첫 고정 예능 도전…반가운 이유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백약이 무효?"…산재 사망 더 늘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준오헤어 품은 블랙스톤?…'대규모 투자' 두고 엇갈린 해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아이오니스 ‘올레자르센’ 적응증 확대 ‘청신호’…에스티팜도 ‘방긋’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