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10명 중 9명 “OTT 이용료 인상 5000원 초과 싫어”
- 응답자 78% “OTT 선택 기준은 유명 작품 개수”
3월 2~20일 10~60대 600명 TDI 메타베이 설문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플랫폼 이용자 10명 중 9명은 OTT 이용 요금이 5000원을 초과하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대표 신성균)가 디지털 설문조사기술인 메타베이(Metavey)를 활용해 3월 2~20일 동안 600명을 대상으로 주 사용 OTT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메타베이 참여자의 62%가 ‘주 사용 OTT의 요금이 인상 허용 범위’를 묻는 질문에 ‘다른 OTT를 이용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응답자들은 ▷5000원 이내 29% ▷1만원 이상 6% ▷(5000원 이상~) 1만원 이내가 3%로 대답했다.
주 사용 OTT를 결정한 이유에 대해 응답자들은 40%가 ‘유명한 작품이 많아서’라고 대답했다. ‘저렴한 이용료’와 ‘꼭 보고 싶은 작품 때문에’라는 응답은 각각 22%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작품의 개수가 많아서’라는 답변은 16%를 차지했다. 즉, OTT 선택 이유로 ‘작품’을 꼽은 의견이 약 78%에 이르는 셈이다.
이는 ‘요금(22%)’을 선택한 답변보다 3.5배 이상 높은 수치다. 작품의 개수나 질이 OTT 서비스 결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 사용 OTT는 ▷넷플릭스(48%) ▷웨이브(18%) ▷쿠팡플레이(16%) ▷티빙(6%) ▷디즈니플러스(5%) ▷기타(7%) 순으로 집계돼 넷플릭스를 선택한 이들이 절반에 달했다.
TDI가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집계한 OTT 상위 5개 앱의 설치 수(3월 2일) 역시 ▷넷플릭스가 1450만대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웨이브 1204만대 ▷쿠팡플레이 698만대 ▷티빙 708만대 ▷디즈니플러스 352만대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메타베이는 뉴스 콘텐츠 사용자들이 뉴스를 보면서 연관 설문에 응답할 있도록 한 신개념 디지털 설문 조사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매칭으로 기사마다 차별화된 설문을 노출시켜 이용자의 관심 분야에 대해 조사할 수 있어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정보
당신이 좋아할 만한 정보
AD
추천
"허리통증" 심각환자.."이것" 하자마자..바로..충격!추천
79세 김용건 "고혈당, 당뇨" 예방하는 1%의 비밀!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AD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김윤주
2024.05.01더 알아보기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2025 타임지 100인 선정…“韓 차기 유력 지도자”(종합 2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
'연봉 237억원' 김병현, 해외 요식업 구상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중국 1분기 성장 놀랍긴 한데…미국발 관세폭탄에 어쩌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우물안 개구리 벗어난 큐렉소, 알고보니 세계 의료로봇 10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