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트럼프 감세법, 반도체 기업 세액공제 확대...삼성·SK ‘뜻밖의 희소식’
- 미국 반도체 공장 건설에 대한 세액공제 25% → 35%로 확대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해 온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상원 문턱을 넘으면서 미국 반도체 공장 건설에 대한 세액공제가 35%로 확대했다. 현지 투자를 진행 중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7월 1일(현지시각) 외신에 따르면 상원에서 OBBBA가 통과되면서 기존 25%로 설정됐던 반도체 시설 세액공제가 35%로 확대됐다. 지난 2022년 제정된 ‘반도체 및 과학법’(이하 반도체법)은 반도체 기업들에 2022년 말 이후 가동 시설과 2026년 말 이전 착공 시설을 대상으로 시설·장비 투자에 대해 25% 세액공제를 제공한다. 이날 상원에서 통과된 법안은 세액공제 폭을 25%에서 35%로 확대한 것이다. 법안이 상원에 회부된 이후 상원 공화당이 내놨던 초안에 담긴 30%보다 더 높인 것이다.
반도체법 제정 당시 미국 상원 상무위원회는 반도체 기업들이 세액공제 25%를 통해 향후 10년간 240억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정했는데, 이번 법안으로 효과가 더 커지게 됐다. 아울러 반도체법은 시설·장비 투자 대상 세액공제와 더불어 반도체 공장 건설에 대한 직접 보조금(390억달러)과 대출(최대 750억달러) 지원도 담고 있다. 지금까지 인텔, TSMC, 마이크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보조금 대상으로 확정됐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법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지만 반도체 투자 프로젝트가 진행되거나 추진될 예정인 지역에 소속돼 있는 의원들의 요구에 따라 이 법을 유지하면서 공제 폭도 확대하게 됐다.
법안은 하원을 통과한 이후 상원에서 수정 가결됨에 따라 다시 하원에서 표결을 거쳐야 한다. 공화당은 2일 법안을 표결에 부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까지 서명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세액공제 확대로 인해 현지 투자 기업들의 투자 계획 이행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1년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제2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내년 가동이 목표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피엣시에 첨단 패키징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한 이후 착공을 준비 중이다. SK하이닉스는 2028년 하반기부터 차세대 HBM 등 AI 메모리 제품을 양산한다는 방침이다. 또 현지 생산기지와 연구개발(R&D) 시설을 토대로 현지에서 1000개 이상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인디애나 첨단패키징 공장의 총 투자 규모는 38억7000만달러(약 5조4000억원)에 달한다.
다만 일각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외에도 TSMC, 인텔, 마이크론 등 미국 생산시설 투자 기업 모두 혜택을 받기 때문에 효과는 다소 제한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대통령,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안 재가(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출 규제는 맛보기”… 李대통령, 강력한 부동산 대책 예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