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美 관세전쟁서 카운터 펀치 날린 中…"핵심광물 수출통제, 美 무기 공급망 3분의2가 영향권”
- 美국방정보업체 분석…"F-35 경보시스템·대전차무기 재블린 등 中 장악 광물 사용"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중국의 핵심 광물 수출 통제 강화로 미국 무기 공급망의 3분의 2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 국방 조달 정보업체 고비니 연구진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이 장악한 안티모니와 갈륨, 게르마늄, 텅스텐, 텔루륨 등으로 제작된 무기 부품 8만개를 식별한 뒤 “(미국의) 모든 무기 시스템 가운데 78% 가까이가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라고 27일 보도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최근 핵심 광물 수출 금지·통제는 공공연한 비밀을 하나 드러낸 것”이라며 “미국은 무기 시스템 필수 부품에서 근본적으로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이 관세 장벽을 높이며 중국과의 관세전쟁을 격화하는 와중에 중국이 핵심광물 수출을 제한했는데, 미국이 타격을 받게 됐다는 뜻이다.
중국은 지난 2023년 7월 갈륨·게르마늄을 대상으로 수출 통제 조치를 시작했다. 지난해 2월에는 텅스텐과 텔루륨, 같은해 8월에는 안티모니를 통제 대상으로 포함했다. 연구진은 이 광물이 미국 해병대 무기의 61.7%, 해군 무기의 91.6%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15년 동안 미국 무기 시스템에서 이 5대 광물의 사용은 연평균 23.2% 증가해왔다고 덧붙였다.
미국 F-35 전투기의 미사일 경보 시스템 내 적외선 부품에는 안티모니가 쓰인다. AN/SPY-6 레이더에는 갈륨, 핵 탐지 시스템과 대전차무기 재블린의 적외선 광학 장치에는 게르마늄, 장갑 관통 대전차탄에는 텅스텐, RQ-21 블랙잭 드론의 열전발전기에는 텔루륨이 사용된다.
보고서는 미국 무기 체계 1900종의 생산 과정 전반을 분석한 결과 중국이 공급망 대부분에 관여돼있었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미국이 중국을 배제할 경우 무기 체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실제 안티모니의 19%만이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 가능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에서 정제된 안티모니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핵심적인 방산 공급망을 잠재적인 정치·경제적 영향력에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미국 군사 플랫폼의 비용 상승과 생산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며 “중국의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전략 비축량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미녀에 306억 바쳤다” 70대男, 죽음의 진실은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MLB 진기록에 '포도대장' 박경완 소환,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6.3 대선 결국 '이재명이냐 아니냐'로…민주 대선후보 확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분만에 완판된 일본 신칸센 토큰증권…비결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최근 3년 영업익 성장률 187%"…바이오비쥬, 코스닥 상장으로 날갯짓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