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돌봄에서 투자로… 스타트업이 이끄는 시니어 주거 혁신, 새 길을 연 홈플릭스

국내 시니어 하우징 시장이 빠르게 ‘투자 가능한 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돌봄 플랫폼 케어닥이 산업의 문을 열었고 시니어 레지던스 전문 스타트업 홈플릭스(Homeflix)가 그 흐름을 이어가며 새로운 시장 질서를 만들어가고 있다.
케어닥은 최근 32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유치하며 업계의 이정표를 세웠다. 의료·돌봄·생활 서비스를 통합한 ‘케어홈 프리미오’ 브랜드를 통해 운영형 시니어 하우징 모델을 선보였다. 복지 영역으로 여겨지던 시니어 주거를 금융시장에서 수익형 자산으로 재정의했다.
이는 ‘돌봄이 산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한 사례로 스타트업이 대규모 자본을 유치해 시니어 주거 시장의 신뢰도를 끌어올린 대표적 성공으로 평가된다.
후발주자인 홈플릭스는 또 다른 접근을 택했다. 서울 잠실에 ‘아우름 시니어 레지던스(AURUM Senior Residence)’ 홍보관을 개관하며 도심형 실버하우징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홈플릭스는 헬스케어·웰스케어·택스케어를 통합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입주자의 건강, 자산, 상속 관리를 한 번에 아우르는 서비스형 주거 모델을 구현했다.
특히 홈플릭스는 ‘주거의 금융화(Residential Financialization)’ 개념을 현실화하고 있다. 단순히 부동산을 보유·임대하는 차원을 넘어 주거 공간을 금융상품처럼 설계해 안정적인 현금 흐름과 서비스 수익을 결합하는 모델이다.
보증금, 월 이용료, 구독형 헬스·생활 서비스 등에서 발생하는 다층적 수익 구조는 시니어 주거가 복지에서 투자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두 기업의 행보는 2025 한국경제신문 ‘집코노미 박람회’에서도 주목받았다. 케어닥과 홈플릭스 대표가 각각 ‘시니어 하우징 투자 전략’을 주제로 강연에 나서며 업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현장에서는 '케어닥이 시장을 열고 홈플릭스가 산업을 확장한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강연 내용은 『2025 집코노미 시니어 하우징 리포트』 책자로도 발간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케어닥이 ‘돌봄의 산업화’, 홈플릭스가 ‘주거의 금융화’를 각각 대표하며 한국 시니어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양대 축을 형성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시니어 하우징은 이제 복지의 영역을 넘어 헬스·테크·금융이 결합된 미래형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예대마진 줄었는데 왜? 올해 시총 200조원 뛴 中 은행[차이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지젤·닝닝, 화보 같은 투샷...시크美 장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성수동 아파트 두 달 만에 3억↑…토허제 직전 '마지막 불꽃' 태웠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 돕는 조력자…VC가 '상주 기업가' 두는 이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큐리언트가 기술수출한 ‘텔라세벡’, 부룰리궤양 임상서 환자 전원 완치 확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