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LG생활건강, 1분기 영업익 1424억...전년 대비 5.7%↓
- 영업이익 감소에도 시장 기대치는 상회
프리미엄 브랜드 판매 호조...일본·북미 성장

국내·외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5.7% 감소했다. 다만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 기대치(FN가이드 기준 1348억원)를 상회했다.
사업별로 ‘뷰티’(Beauty·화장품)와 ‘리프레시먼트’(Refreshment·음료)는 각각 기저 부담과 소비 부진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반면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해외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는 ‘HDB’(Home Care & Daily Beauty·생활용품)는 전년 대비로 매출이 2.2%, 영업이익은 13.7% 성장했다.
해외 매출의 경우 북미 지역이 성장세로 돌아선 가운데 일본에서 23.2% 고성장했다. 같은 기간 중국 매출은 4.1% 감소했다.
뷰티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줄어든 7081억원, 영업이익은 11.2% 감소한 589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및 국내 주력 채널은 성장했지만 면세점, 방문판매 등 소위 ‘전통 채널’이 부진하면서 매출이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감소에 따라 하락했다. 해외 시장의 경우 일본에서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CNP와 힌스, VDL 등 색조 브랜드가 크게 성장했다. 국내에서는 온라인을 비롯해 헬스앤뷰티(H&B)스토어 등 신성장 채널의 성장이 지속됐다.
HDB 1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늘어난 5733억원, 영업이익은 13.7% 증가한 366억원을 기록했다.
내수 소비 부진에도 불구하고 해외 시장에서 피지오겔, 유시몰, 닥터그루트 등 데일리뷰티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판매 호조를 보이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했다.
리프레시먼트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 축소된 4164억원, 영업이익은 10.8% 줄어든 469억원을 기록했다.
경기 불황에 따라 전반적인 음료 소비가 둔화된 가운데 원·부자재값 상승 등 비용 부담이 지속되면서 매출 및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했다. 다만 코카콜라 제로, 몬스터 에너지 등 주요 브랜드는 견조한 수요를 유지 중이다. 스프라이트 제로 칠(Chill), 파워에이드 제로 라임향 등 MZ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신제품도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게 LG생활건강 측 설명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국내외 다양한 고객 층 확대를 위해 시장 트렌드에 맞는 제품을 확대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유통 채널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으로 시장 대응을 강화하고 차별적 고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 개발로 성장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티움바이오, 우호 투자자 확보로 오버행 해소…“주주 구조 안정성 강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혼숙려캠프’ 故강지용 부인 “억측 자제 부탁”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참에 갈아타자" 번호이동 폭증…SKT, 시장점유율 출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친환경 드라이브' 한솔제지, 탄자니아 하수처리 사업 뛰어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K바이오 최대규모 6.5조 기술수출 뉴로바이오젠...판매 로열티 등 의문 투성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