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현대차그룹, 美 전기차 수출 88% 급감…세액공제 종료 앞두고 국내 생산 기반도 '위기'
- 울산공장 가동 중단·부품사 투자 차질 우려 확산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해 1∼5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는 작년 동기(5만9705대)보다 88.0% 감소한 7156대에 그쳤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87.0%가 감소한 3906대, 기아는 89.1% 줄어든 3250대를 수출했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이 본격화한 2021년을 제외하면 가장 작은 수출 규모다.
현대차·기아의 대미 전기차 수출은 1∼5월 기준 2021년 4441대, 2022년 2만8474대, 2023년 4만6542대, 2024년 5만9705대로 꾸준히 증가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2021년 1만9820대, 2022년 6만8923대, 2023년 12만1876대, 2024년 9만2049대 등이었는데 올해는 2만대를 넘기는 것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러한 감소세는 현대차그룹이 최근 미국에 전기차 생산 기반을 구축한 가운데 현지 판매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하고 상반기 동안 아이오닉5 2만8957대, 아이오닉9 4187대를 출고했다.
기아도 지난해 전기차 현지 생산을 시작해 올해 미국에서 EV6 7441대, EV9 7417대를 생산해 판매했다.
여기에 현대차·기아가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크게 고전하는 상황이 겹치며 전기차 수출 수요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 상반기 미국에서 판매한 전기차는 4만4555대로 작년 동기보다 28.0% 감소했다.
미국 내 전기차 총판매량이 5.2% 증가한 가운데 역성장으로, 상반기 기준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 감소는 2021년 이래 처음이다.
그런데 올해 남은 기간 전망은 더 어둡다는 것이 업계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 시행으로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가 오는 9월 말로 조기 종료되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전기차 판매량이 연간 최대 4만5828대(매출 19억5508만달러·약 2조7200억원)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기아가 중심인 국내 전기차 생산 기반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국은 작년 현대차그룹의 전체 전기차 수출(25만4967대)의 36%를 차지했다.
실제로 현대차는 이달 16일부터 21일까지 아이오닉5, 코나EV를 생산하는 울산 1공장 12라인 가동을 중단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들어 5번째 휴업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국내 부품업체들은 수출을 염두에 두고 전기차 설비 등 투자를 많이 했는데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며 "특히 미국에 동반 진출하지 못한 업체들은 투자비 회수가 더 어렵다"고 짚었다.
부품업계 관계자도 "미래 차 전환을 목표로 선제적으로 연구개발도 하고 인력도 뽑았었는데 아직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서 못 벗어난 상황에서 수출까지 줄어들었다"고 토로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또 '1.8점 감점'이 결정적?…현대重·한화오션, 이번엔 '수중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90억 연봉’ 윤석민 “갑질 당하고 싶다”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또 '1.8점 감점'이 결정적?…현대重·한화오션, 이번엔 '수중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BI국인산업, 라온저축은행 인수 순항…PF는 여전히 ‘뇌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짐머가 판 깔았다'…오스테오닉 '스포츠메디신', 작년 52억, 올해는 155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